Python/Python 문법
07. 파이썬 데이터구조 (Data Structure) - List (1)
Cong_S
2022. 4. 19. 20:27
파이썬의 기본자료구조에는 4가지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많이 쓰게 될 List 에 대해 알아보자.
List는 데이터를 여러 개를 한 번에 저장할 때 사용하는 구조로,
인덱스 구조라서 순서가 정해져있고,
mutable 다시 말해 저장된 데이터를 바꿀 수 있는 기본 구조이다.
List 생성은 [] 대괄호 또는 list()로 생성한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유사한 구조인 데이터 억세스와 혼동하면 안된다.
문자 바로 옆에 붙으면 그 대괄호는 데이터 억세스로서 작동한다.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는 int(), float(), str() 3가지 전부 다 저장가능하고
섞어서도 저장되고 List 안에 List 생성도 가능하다.
List 도 = 등호를 통해 변수 할당이 가능하다.
List 도 앞선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index 구조이기 때문에
문자 옆에 [] 대괄호로 데이터 억세스로 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다.
슬라이싱과 같은 기능도 앞서 배운 것과 같이 기능한다.
List 안에 있는 List 값을 구할 땐 부모자식구조만 잘 파악해서
[n][n]과 같은 구조로 데이터값을 특정할 수 있다.
한 발 더 나아가 데이터 속에 특정 문자도 특정할 수 있다.
앞선 문자열에서는 문자열이 immutable 이라
= (변수 할당)을 통해 값을 변경할 수 없고, replace()를 통해 값을 변경해줬지만
List 는 mutable 이기 때문에 =(변수 할당)을 통한 데이터 값 변경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