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환경에서 개발을 할 때
코드가 매우매우매우 길어지는 일이 다반사이다.
이런 경우 코드를 찾기도 힘들고, 디버깅도 힘들고, 다른 유저가 보았을 때 한눈에 파악하기도 쉽지않고
메모리도 많이 차지하는 단점들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파일을 따로 만들어 함수를 통해 하나의 파일로 묶어줄 필요성이 생긴다.
파일을 분리하여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우선 어떤 파일을 분리해야할지 생각해보아야한다.
보통 하나의 기능 단위로 많이 나누게 된다.
특히 EDA면 EDA, 머신러닝이면 머신러닝 등 코드가 복잡해지기 쉬운 단위별로 묶는 것이 좋다.
2. 함수를 통해 연결하기.
import streamlit as st
def run_home():
st.subheader('이 앱은 고객데이터와 자동차 구매 데이터에 대한 내용입니다.')
st.text('왼쪽 사이드바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세요.')
함수를 통해 연결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같은 레파지토리 안에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 def를 통해 함수를 만들고 저장한 후
from app_eda import run_eda
from app_home import run_home
from app_ml import run_ml
원래 전체 파일로 돌아와 새로 만든 파일을 import 하고 함수를 불러오는 식이다.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3. 아주 조금 더 쉽게 하기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더 쉽게 연결할 수 있는데
새 파일에 함수를 만들어 저장한 후 원래 파일로 돌아와 링크를 할 때에
따로 import를 해주지 않아도 같은 레파지토리 안에 있는 파일과 함수라면 자동으로 import 시켜준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러 해결 - No module named '_overlapped' (0) | 2022.06.02 |
---|---|
하나의 EC2에 여러 스트림릿 앱을 실행시키려면? (0) | 2022.05.24 |
소스코드가 수정되었을 경우, EC2에 코드 수정 반영하는 방법 (0) | 2022.05.24 |
joblib 라이브러리에 대해 (0) | 2022.05.23 |
Data Dashboard App 을 개발하는 순서 (0) | 2022.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