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콩's 코딩노트

JAVA20

JAVA - try catch finally 문법 사용하기 ( 예외처리 )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수없이 많은 오류가 발생한다. 동작을 하지 않기 하기 위한 자바의 배려이다. 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오류를 무시하고 싶을 때도 있고, 오류가 날 때 그에 맞는 적절한 처리를 하고 싶을 때도 있다. 이에 자바는 try ... catch, throw 구문을 이용해 오류를 처리 한다.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Try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int[] arr = {15, 2, 6}; // 배열의 인덱스가 범위를 벗어나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오류가 발생 // 잘못된 오류가 발생해도 개발자가.. 2022. 7. 7.
JAVA - HashMap 사용법 해시맵은 이름 그대로 해싱(Hashing)된 맵(Map)이다. 맵이라는 것은 키(Key)와 값(Value) 한 쌍을 하나의 데이터를 보관하는 자료구조이다. Python의 Dictionary(딕셔너리) 와 유사하다. 여기서 키는 맵에서 유니크 해야 한다. 이름 그대로 열쇠이기 때문에 그 열쇠로 짝인 값(Value)를 찾아야하기 때문입니다. 값은 중복된 값이어도 상관이 없습니다. import java.util.HashMap; // HashMap 선언하는 방법 HashMap map = new HashMap(); 데이터 타입을 두 개 입력해야한다. 이유는 키와 밸류의 데이터타입을 명시해야하기 때문이다. // 데이터 입력하기 map.put("model", "iPhone"); map.put("year", "2021.. 2022. 7. 6.
JAVA - ArrayList 사용법 ArrayList란 Collection 프레임워크의 일부이며 java.util 패키지에 소속되어 있다. Java 표준 배열은 생성 시에 갯수를 정해줘야 한다. ex. String[] nameArray = new String[10]; 배열은 생성 시 정해진 갯수를 초과하면 데이터가 더 이상 저장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갯수를 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마음대로 추가하고 삭제할 수도 있는 것 배열이 필요했고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ArrayList(어레이 리스트) 이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표준 배열보다는 느리지만 배열에서 많은 조작이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List 인터페이스에서 상속받아 사용한다. - ArrayList는 객체가 추가되어 용량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부족한 크기만큼 용량이 늘.. 2022. 7. 6.
JAVA -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하는 이유와 사용방법 인터페이스란? 극단적으로 동일한 목적 하에 동일한 기능을 보장하게 하기 위함이다. 자바의 다형성을 이용하여 개발코드 수정을 줄이고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현실에서 대량생산과 유지보수성, 호환성이 높아질 것을 위해 부품 하나하나 규격에 맞춰 규격을 통일시키듯이 인터페이스 또한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인터페이스는 interface 키워드를 통해 선언할 수 있으며 implements 키워드를 통해 일반 클래스에서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public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 //상수 타입 상수명 = 값; //추상 메소드 타입 메소드명(매개변수, ... ); //디폴트 메소드 default 타입 메소드명(매개변수, ... ){ //구현부 } //정적 메소드 static 타입 메소.. 2022. 7. 6.
JAVA - 추상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와 사용방법 추상클래스란? 추상클래스는 실체클래스의 공통적인 부분(변수,메서드)를 추출해서 선언한 클래스이다. 예를 들면 세상엔 많은 종류의 자전거(두발 자전거, 세발 자전거, 2인 자전거 등등...)가 있지만 그 모든 자전거에는 페달을 밟아 바퀴를 굴려 앞으로 나아가는 공통적인 메소드가 존재하고 이 부분만을 추출해 선언한 클래스라는 것이다. 추상적이고 구체적이지 않은 클래스인만큼 추상클래스는 객체를 직접 생성할 수 없다. 객체를 직접 생성할 수 있는 클래스를 실체클래스라고 하는데, 실체클래스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추출해서 선언한 클래스를 추상클래스라고 한다. 여기서 추상클래스와 실체클래스는 상속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추상클래스는 왜 사용하는걸까? 첫 번째로, 공통된 필드와 메서드를 통일할 목적이다. 10.. 2022. 7. 6.
JAVA - 상속관계의 클래스에 대한 캐스팅 - 업캐스팅(UpCasting) 업캐스팅이란? (Type, 형 변환) 자식 클래스의 객체를 부모 클래스의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public class UpCastingParent { int x; int y; } public class UpCastingChild extends UpCastingParent { //int x; //int y; int z; public class UpCasting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이 부분이 바로 업캐스팅! UpCastingParent ucp = new UpCastingChild(); result = ucp.add(); System.out.println(result); // 변수는 부모클래스이므로, 부모 클래스에 있는 함수 이름.. 2022.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