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문법은 in 과 함께 사용한다.
for A in B 의 문법을 읽어보면
B(데이터 스트럭쳐) 에서 데이터를 하나씩 꺼내 A라는 변수에 대입하여 연산하고,
다시 B 데이터 스트럭쳐로 돌아와 다음 인덱스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연산하여,
해당 데이터 스트럭쳐의 데이터를 다 연산할 때까지 반복 작업한다는 뜻이다.
예제와 함께 보면
for A in B 에서 데이터스트럭쳐인 my_list는 B의 자리에 위치하고 변수는 임의 지정한다
for data in my_list :
첫 줄 콜론으로 들여쓰기로 들어가 액션을 지정해준다.
일괄적으로 -5를 해야하니 my_list 의 데이터가 지정된 data를 -5 해서 덮어씌워주고, 출력한다.
대부분 이런 흐름으로 진행되며, for, while 반복문이 중첩되서 쓰이거나
if 조건문으로 조건을 지정할 수도 있다.
문자열 데이터를 for 반복문으로 연산하면,
한 글자씩 연산한다.
위에서 말했듯
데이터 스트럭쳐의 모든 데이터를 인덱스 순서대로 모두 하나씩 반복연산한다.
해당 데이터의 인덱스 값이 같이 필요할 때가 종종 있으므로 꼭 익혀두면 좋다.
딕셔너리 데이터는 그냥 연산하면 key 값만 연산되는데
value 값이 필요할 경우 .values() 메소드로 추출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dict([ ])의 형태로 출력되니 list로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
딕셔너리의 데이터를 튜플 형태로 추출하는 방법이다.
item 메소드를 사용하고 키값과 밸류값이 튜플로 변환된다.
위의 방법들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와 가공하고 사용할 수 있다.
'Python > Python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반복문 - while 반복문, 무한 루프, 중첩 루프 (0) | 2022.04.25 |
---|---|
20. 반복문 - Break, Range 함수 (0) | 2022.04.25 |
18. 반복문 - 반복문의 이해, for 반복문, while 반복문 (0) | 2022.04.25 |
17. 조건문 - if , elif , else , 조건문에서 주의할 점 (들여쓰기, 연산순서) (0) | 2022.04.21 |
16. 논리 연산(LOGICAL OPERATORS) - AND, OR 논리연산 (0) | 2022.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