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콩's 코딩노트
Python/Python 문법

05. 문자열 (1)

by Cong_S 2022. 4. 19.

문자열이란?

파이썬의 데이터 타입 3가지 중 하나로

"" (큰따옴표)나''(작은따옴표)로 둘러싸인 시퀀스이다.

 

 

파이썬의 특성 상 같은 줄에 있는 것만 하나의 식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문자열 또한 줄이 달라지면 다른 문자열로 인식되어 버린다.

그 현상을 막기 위해 ''' (작은따옴표 3개)를 붙여주면

줄이 달라져도 하나의 문자열로 인식된다.

 

앞서 배운 연산자들은 int, float 뿐만 아니라 str 즉, 문자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문자열의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바꿀 땐 upper 메소드를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바꿀 땐 lower 메소드를 사용한다.

각 단어의 맨 앞글자만 대문자로 바꿀 땐 title 메소드를 사용한다.

 

split () 의 괄호 안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았으므로

공백을 기준으로 각각 분리해낸다는 뜻이다.

split의 괄호 안에 특정 문자를 입력하면 그 문자를 기준으로 분리할 수 있다.

 

[ ] 대괄호를 통해 데이터 억세스를 할 수 있다.

필요한 데이터만을 특정하는 것이다.

이는 파이썬을 활용함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부분!

 

대괄호 안에는 각 데이터들의 index(순서 번호) 를 통해 지정할 수 있다.

index 값은 0부터 시작한다.

 

문자열은 변수 할당을 통해 값을 변경할 수 없는 immutable 이다.

위 화면은 변수 할당을 통해 특정 값을 변경하려했다가 에러가 난 모습 

 

그래서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를 치환하려 할 때에는 replace( ) 를 사용해야 한다.

.replace ( '변경될 문자' , '변경하고자 하는 문자' )

 

 

 

[ ] 대괄호 안에 : 콜론으로  왼쪽 값~ 오른쪽 값 까지 라는 뜻으로 해석한다.

마지막 인덱스 번호는 0부터 세고 난 후 +1이 된 값을 지정해줘야 정상적으로 나온다.

맨 앞과 맨 뒤 인덱스는 생략해도 상관없다.

 

 

 

 

 

 

-n 값으로 맨 뒤에서부터 셀 수도 있다.

 

: : 콜론 두개 뒤에 인덱스 번호를 지정하면 그 숫자만큼 떨어져있는 수를 모을 수 있다

응용하면 [ : : -1] 로 뒷번호부터 거꾸로 나오게 할 수 있다.

 

 

댓글